Review) Used to

Used to는 우리가 이미 배운 내용입니다.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중에 포스팅이 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있어 추가합니다. I used to는 ~하곤 하였으나 지금은 하지 않는다라는 의미였던 것은 다 기억할 것입니다. 그리고 I am used to ~는 지금까지 그렇게 하고 있어서 잘 할 수 있어... 익숙함을 나타내는 표현이었습니다. 예시를 보고 기억을 다시 떠올리시기 바랍니다. I am used to studying a lot 나는 공부를 많이 하는 것에 익숙해요 I used to study a lot 나는 공부 많이 했었는데 지금은 하지 않아요. 여기서 to 다음에 왜 ing가 왔는지도 기억나나요? 맞습니다. to부정사의 의미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전치사 즉, 학교에 가다 to school처럼 사용된 의미니까 ing나 명사가 오는 것입니다.

Review) Be

앞서 포스팅한 Be동사에 내용을 다시 설명드리는 내용입니다. 우선 Be동사라는 의미로 우리가 알고 있는 뜻은 "이다" "있다"의 내용이 전부일 것 입니다. 하지만 우리가 잘 아는 영어표현 중 하나인 Where are you from?이라는 질문에 우리는 즉각적인 반응처럼 I am from Korea를 외칩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am 이라는 동사는 무슨 의미로 사용된 것인가요? 간단한 질문에 우리는 왜 그런지 모르지만 그냥 그렇게 문장을 외워서 풀다보니 아무런 의심도 질문도 없이 넘어갔다고 합니다.  Have라는 단어를 찾아보면 너무나 많은 뜻이 그 안에 함축되어 있습니다. 밥을 먹는다는 의미로까지 사용되니까요. 그렇다면 우리가 그런 뜻을 차근차근 알아가지 못한다면 결국 나중에 가서 아무런 의심 없이 사용하던 단어지만 의심해도 해석이 자연스럽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하나의 예를 더 들어 보겠습니다. 제가 스위스에 놀러간적 있는데 그때 고소공포증이라는 것을 처음 경험했습니다. 그전까지는 전혀 몰랐는데 제가 높은 곳을 무서워 하더군요. ㅜㅜ I am afraid of height. 여기서 be는 무슨 의미인가요? 번역기로 돌려보니 해석이 정말 우습더군요. 한번 찾아보세요. 여기서는 나라는 존재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나라는 존재는 높은게 무서운 사람이라는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입니다.  이렇게 우리가 다음 문장 뒤에 am/are/is중 무엇이 들어가는 것일까요? 라는 질문에 답은 맞출 수 있지만 조금만 깊게 들어가거나 예외 상황을 만나면 해석 자체가 되지 않는 어찌 할 수 없는 당황스러운 상황이 벌어집니다. (현재완료에서 그 부분이 명확히 들어 납니다) 몇가지 예를 더 들고 포스팅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나는 누구인가? 라는 말은 who am I? 그렇다면, 제가 늦었나요? Am I late? 라는 단어가 생각이 나야 합니다.  그러니 다음부터 be동사를 볼...

women

오늘은 단어의 발음에 대해서 한가지만 언급하려 합니다.  최근에 단어의 단수와 복수에 대해 이야기 중에 나온 단어입니다.  woman은 단수 한명의 여자고 women은 복수로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여기까지 모두들 알고 있을텐데 발음을 하면서 한가지 알게 된 것이 women을 "위멘"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왜 그런지 그 이유를 들어보니 man과 men의 멘을 적용해서 위멘이라고 발음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옳은 발음은 아닙니다.  사전에서도 WIMIN이라고 발음 기호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맞습니다. 위민 이라고 발음하는 것이 옳습니다.  아는 것 같지만 모르는 단어 한가지였습니다. 

Word Catch- disinterested

우리는 흔히 dis, un 등을 붙으면 반댓말이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꼭 그렇게 사용되는 단어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늘은 그 중에서 interested에 붙은 내용을 좀 살펴 보고자 합니다. disinterested는 느낌상 어떤 뜻일 것 같은가요? 아마도 interested가 흥미있다라는 의미가 있으니 흥미 없는, 관심없는 이라는 뜻으로 쓰일 것 같지만 실제는 공정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완전 다른 의미죠. 그렇다보니 disinterested라는 단어를 관심없다는 식으로 해석하면 무엇인가 알것 같으면서도 모를 것 같은 해석이 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앞서 언급한 관심없는의 의미로는 어떤 단어가 있을까요? 맞습니다. Uninterested입니다. 결국 uninterested라는 단어는 disinterested와 같은 synonym으로 대체해서 사용할 수 없는 것입니다. 단어 하나 하나 유심히 봐야 하는 이유를 알 것 같습니다.

관계 대명사

관계 대명사를 공부하기 전에 먼저 관계 대명사가 영어로 무엇인지 알아 볼 필요가 있습니다.  Relative Clauses : Relative 는 연결되는 의미로 알고 있고 Clauses는 좀 생소한 느낌이 들기도 할텐데 표현 expression의 의미로 생각하는 것이 가장 이해가 빠를 것 같습니다. 즉 표현하는데 연결해 주는 무엇?이라고 생각하고 공부를 하겠습니다.  I met a girl. She can drive a boat  I met a girl who can drive a boat  공식적으로 알고 있기로는 she가 who 바뀌는 것이라고 기억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who라는 단어가 앞뒤 문장을 연결 Relative 하는데 표현Clauses으로 사용되는 것입니다.  결국 문장을 연결하는데 쓰이는 것인데 여러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who는 사람 where은 장소 when은 시간 how는 방법 what은 목적 (~것) which는 물걸 that은 물건 또는 사람에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The gun which he is playing with is very dangerous.  A boy is playing with gun  It is dangerous  A train is a machine which carry people   A liar is a person who cheat others

To 부정사 2

앞서 To가 붙는 동사들이 무엇인지 배웠습니다. 대부분 알고 있는 단어들도 있지만 모르고 있는 단어들도 있었습니다. 그럼 오늘은 To부정사의 명사적, 형용사적용법... 머 이런 말을 많이 들어 봤을 것입니다. 어찌보면 그냥 해석을 자연스럽게 고쳐보라고 하면 될 것을 아이들은 이 조차도 또 다시 공식처럼 외우고 있더군요. 그런 것 필요없이 그냥 해석하는데 자연스럽게 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To have a good skill there are two things you must do. 이 경우 무슨 의미로 사용된 것일까요? have 는 가지다라는 의미니까 좋은 기술을 가지다 2가지 해야 할 일이 있다.... 이 문장을 자연스럽게 고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좋은 기술을 가지다 / 2가지 해야 한다. 좋은 기술을 가지기 위해 2가지를 해야 한다. 좋은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당신은 반드시 2가지를 해야 한다. 이런 식으로 처음에는 대략적인 뜻만 생각하고 점점 세부적인 해석을 하시면 더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결국은 ~위해 ~것으로 바뀌는 것 뿐입니다.

To 부정사

To부정사라는 이름이 무엇인가 깊이가 있는 내용 같기도 하고 왠지 모르게 좀 복잡할 것 같기도 합니다. 그런데 막상 해석을 하다보면 저절로 알게 되는 것이 To부정사 아닐까 합니다.  To 부정사를 공부하기 위해서는 동사 뒤에 반드시 To라는 전치사가 오는 것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무슨 공식이 없는지 질문을 받곤 하는데 공식보다는 외워야 하는 경우입니다. 반면 해외에서 공부한 사람의 경우 왜 그런지 모르지만 늘상 그렇게 사용해 왔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외우게 되기도 합니다. 그들에게 무슨 공식이 있냐고 물으면 "몰라"라는 답변이 오곤합니다.  자 그럼 to가 들어가는 단어를 생각해 봅시다. 우선 제일 먼저 생각나는 단어가 want가 아닐까 싶습니다. I want to ~ 라는 단어는 너무 많이 사용해서 익숙하기 때문이죠. 앞서 언급한 해외에서 공부한 학생과 비슷한 느낌일 것입니다. 그냥 그렇게 써왔으니까요. 또 잘 생각나는 단어들을 써 볼테니 한번 읽어봐 주세요.  want  need try  hope plan  decide  promise  expect  forget  offer learn  refuse 뒤에 3단어를 제외하면 아마도 대부분은 입에 익어서 별도로 외워야 할 필요성을 못 느낄 것입니다. 물론 수준에 따라 하단3단어도 쉬운 사람들도 있을테구요.  deserve attempt agree afford  manage fail arrange  threaten  stop 이런 단어들도 추가로 있지요. stop이 to가 쓰인다고? 라고 하실 분들이 계실텐데 그 부분은 ing게시 때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